죽임에 책임지는 사회가 될 것인가를 올해는 결정지어야 합니다.
이태의
사고가 날 때마다 똑같은 경험을 합니다.
회사는 외부인이라며 유족과 사고현장을 공개하지 않습니다.
가족을 잃은 유가족에게는 고인이 "하지 말아야 할일을 했다"
"부주의했다"며 경황도 없을 유족에게 협박을 합니다.
그러니 유족이 당연하게 요구해야할 현장조사, 진실을 규명할 기회를 가지지 못합니다.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지도 못한 채 합의를 종용받고 죽음은 묻힙니다.
그리고 또 다른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죽음을 치운 자리에 또 다른 죽음이 닥쳐도 진심을 다해 반성하거나 책임지지 않습니다.
형사처벌이 어느 윗선까지 다치게 하느냐 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사장들은 죄의식조차 없습니다.
범죄라고 생각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재인대통령이 국민께 약속했던 공공기관에서 억울한 죽음이 생기면 기관의 장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했던 말도 법률이 없으니 소용없습니다.
유가족들이 계속 협박당하게 할 것인가?
죽임에 책임지는 사회가 될 것인가를 올해는 결정지어야 합니다.



죽임에 책임지는 사회가 될 것인가를 올해는 결정지어야 합니다.
이태의
사고가 날 때마다 똑같은 경험을 합니다.
회사는 외부인이라며 유족과 사고현장을 공개하지 않습니다.
가족을 잃은 유가족에게는 고인이 "하지 말아야 할일을 했다"
"부주의했다"며 경황도 없을 유족에게 협박을 합니다.
그러니 유족이 당연하게 요구해야할 현장조사, 진실을 규명할 기회를 가지지 못합니다.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지도 못한 채 합의를 종용받고 죽음은 묻힙니다.
그리고 또 다른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죽음을 치운 자리에 또 다른 죽음이 닥쳐도 진심을 다해 반성하거나 책임지지 않습니다.
형사처벌이 어느 윗선까지 다치게 하느냐 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사장들은 죄의식조차 없습니다.
범죄라고 생각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재인대통령이 국민께 약속했던 공공기관에서 억울한 죽음이 생기면 기관의 장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했던 말도 법률이 없으니 소용없습니다.
유가족들이 계속 협박당하게 할 것인가?
죽임에 책임지는 사회가 될 것인가를 올해는 결정지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