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균 2주기 10만의 바람, 모두의 행동 경총 앞 집회 발언] 우리는 더 이상 죽음을 두고보지 않을 것입니다.
노동자들이 매일같이 죽고 있습니다. 6명씩 7명씩 매일 죽고 있습니다.
김용균처럼 기계에 끼어서 죽고, 김태규처럼 떨어져서 죽고, 무언가에 깔리고 맞아서 죽습니다.
물류창고에서 수십 명씩 불에 타서 한꺼번에 죽고 있습니다.
2만 볼트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전기도 끊지 않고 수리하다 감전돼서 죽습니다.
아침부터 밤까지 택배상자를 들고 뛰어다니다 과로로 죽고, 급하게 배달하다 사고로 죽습니다.
유독가스 측정할 시간도 없이 쫓겨서 밀폐공간에 들어갔다 질식해서 죽고, 반도체 공장에서 화학약품에 중독돼서 죽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현장실습 나갔던 작업장에서 과로와 괴롭힘으로 학생들이 죽고 있습니다.
죽지는 않지만, 팔이 잘리고, 다리를 못 쓰고, 큰 병에 걸려 고통받는 사람들은 더더욱 많습니다.
매년 11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다치고 병에 걸립니다. 게다가 통계로 잡히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누가 죽였습니까? 누가 노동자들을 다치고 병들게 했습니까?
사고나면 기업이 늘 말하죠. 노동자 과실이라고.
정말 노동자들이 스스로 컨베이어 밸트로 딸려들어가고, 스스로 추락하고, 공연히 감전됐습니까?
죽음의 배달 스케줄을 스스로 짰습니까?
사망사고가 난 곳, 누구라도 죽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그 위험한 현장을 누가 방치하고 있습니까?
위험한 작업현장을 바꿀 권한이 누구에게 있습니까?
바로 기업이고, 그 기업을 좌지우지하는 기업주고, 원청 아닙니까?
그래서, 권한도 없는 말단관리자들에게 책임 떠넘기지 말고, 권한 있는 사람들이 책임지라는 게 바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입니다.
2년 전 김용균이 죽었을 때, 그 때도 경총은 산안법 처벌이 너무 과도하다고 우겼습니다.
그렇게 압박해서 법을 누더기로 만들고 처벌 하한형 도입을 막았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됐습니까? 중대재해가 나도 감옥 가는 사람이 보이질 않습니다.
개정 산안법이 시행된 올 해 오히려 사람이 더 죽었습니다. 다친 사람도 더 늘어났습니다.
지금도 경총은 국회의원 만나서 압박을 합니다.
‘사고는 기업의 안전규정 미준수 때문만이 아니다. 산업발전 정도와 안전기술 대응 수준, 건설 분야의 공시 기간과 비용에 대한 계약구조와 압박, 근로자 개인별 부주의, 산재예방 행정 조직의 전문성 부족,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안전문화 수준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모든 책임을 사업주와 원청에 일방적으로 지우는 것은 부당하다’
정말 그렇습니까? 우리나라 산업발전이 부족해서입니까? 안전기술이 없어서입니까? 무리한 건설 기간 단축, 비용 압박 누가 하는 겁니까? 노동자 안전교육 누구의 책임입니까? 산재예방 행정 방해하는 건 누굽니까? 기업안전문화 수준이 가만히 있으면 저절로 바뀝니까? 그거 할 수 있는 사람이 기업주고 원청 아닙니까? 못 할 거면 더 이상 사람 죽이지 말고 기업을 닫아야 합니다. 그래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필요합니다.
국회 밖에서 노동자들이 6일째 단식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김용균의 어머니와 이한빛의 아버지가 단식에 들어갔습니다.
산재유족들의 국회 농성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기업살인을 방조하는 국회가, 그리고 법제정을 방해하는 기업과 경총이 가족 잃은 유족들을 단식으로 내몰았습니다.
경총은 최소한의 염치를 알아야 합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방해하러 다닐 노력의 반이라도 죽음의 일터를 바꾸는 데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대가를 치를 것입니다.
노동자가 죽어도 경영자가 안전한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경총이 반대해도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통과될 것입니다.
우리는 더 이상 죽음을 두고보지 않을 것입니다.



[김용균 2주기 10만의 바람, 모두의 행동 경총 앞 집회 발언] 우리는 더 이상 죽음을 두고보지 않을 것입니다.
노동자들이 매일같이 죽고 있습니다. 6명씩 7명씩 매일 죽고 있습니다.
김용균처럼 기계에 끼어서 죽고, 김태규처럼 떨어져서 죽고, 무언가에 깔리고 맞아서 죽습니다.
물류창고에서 수십 명씩 불에 타서 한꺼번에 죽고 있습니다.
2만 볼트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전기도 끊지 않고 수리하다 감전돼서 죽습니다.
아침부터 밤까지 택배상자를 들고 뛰어다니다 과로로 죽고, 급하게 배달하다 사고로 죽습니다.
유독가스 측정할 시간도 없이 쫓겨서 밀폐공간에 들어갔다 질식해서 죽고, 반도체 공장에서 화학약품에 중독돼서 죽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현장실습 나갔던 작업장에서 과로와 괴롭힘으로 학생들이 죽고 있습니다.
죽지는 않지만, 팔이 잘리고, 다리를 못 쓰고, 큰 병에 걸려 고통받는 사람들은 더더욱 많습니다.
매년 11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다치고 병에 걸립니다. 게다가 통계로 잡히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누가 죽였습니까? 누가 노동자들을 다치고 병들게 했습니까?
사고나면 기업이 늘 말하죠. 노동자 과실이라고.
정말 노동자들이 스스로 컨베이어 밸트로 딸려들어가고, 스스로 추락하고, 공연히 감전됐습니까?
죽음의 배달 스케줄을 스스로 짰습니까?
사망사고가 난 곳, 누구라도 죽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그 위험한 현장을 누가 방치하고 있습니까?
위험한 작업현장을 바꿀 권한이 누구에게 있습니까?
바로 기업이고, 그 기업을 좌지우지하는 기업주고, 원청 아닙니까?
그래서, 권한도 없는 말단관리자들에게 책임 떠넘기지 말고, 권한 있는 사람들이 책임지라는 게 바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입니다.
2년 전 김용균이 죽었을 때, 그 때도 경총은 산안법 처벌이 너무 과도하다고 우겼습니다.
그렇게 압박해서 법을 누더기로 만들고 처벌 하한형 도입을 막았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됐습니까? 중대재해가 나도 감옥 가는 사람이 보이질 않습니다.
개정 산안법이 시행된 올 해 오히려 사람이 더 죽었습니다. 다친 사람도 더 늘어났습니다.
지금도 경총은 국회의원 만나서 압박을 합니다.
‘사고는 기업의 안전규정 미준수 때문만이 아니다. 산업발전 정도와 안전기술 대응 수준, 건설 분야의 공시 기간과 비용에 대한 계약구조와 압박, 근로자 개인별 부주의, 산재예방 행정 조직의 전문성 부족,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안전문화 수준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모든 책임을 사업주와 원청에 일방적으로 지우는 것은 부당하다’
정말 그렇습니까? 우리나라 산업발전이 부족해서입니까? 안전기술이 없어서입니까? 무리한 건설 기간 단축, 비용 압박 누가 하는 겁니까? 노동자 안전교육 누구의 책임입니까? 산재예방 행정 방해하는 건 누굽니까? 기업안전문화 수준이 가만히 있으면 저절로 바뀝니까? 그거 할 수 있는 사람이 기업주고 원청 아닙니까? 못 할 거면 더 이상 사람 죽이지 말고 기업을 닫아야 합니다. 그래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필요합니다.
국회 밖에서 노동자들이 6일째 단식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김용균의 어머니와 이한빛의 아버지가 단식에 들어갔습니다.
산재유족들의 국회 농성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기업살인을 방조하는 국회가, 그리고 법제정을 방해하는 기업과 경총이 가족 잃은 유족들을 단식으로 내몰았습니다.
경총은 최소한의 염치를 알아야 합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방해하러 다닐 노력의 반이라도 죽음의 일터를 바꾸는 데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대가를 치를 것입니다.
노동자가 죽어도 경영자가 안전한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경총이 반대해도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통과될 것입니다.
우리는 더 이상 죽음을 두고보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