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요청서, 보도자료를 받으시려는 기자 님들은 sharps@hanmail.net 으로 명함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취재요청 및 보도자료 윤석열 퇴진을 촉구하는 여성노동자들의 오픈마이크

반올림
2024-12-12
조회수 286

 

 

“여성노동자의 목숨값으로 배당하는 삼성은 들으라”

윤석열 퇴진을 촉구하는 여성노동자들의 오픈마이크

수신

각 언론사

일시

2024.12.13(금) 오후 7시

장소

강남역 10번 출구

집회 후 서울 강남역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 강남역 8번 출구로 행진

배포일자

즉시

담당

정은희 (사회주의를향한전진, 010-2692-6345)

조건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010-6642-2123)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언론 노동자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2025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윤석열과 자본이 함께 유지·강화하고 있는 가부장적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저임금-장시간 노동·여성 및 소수자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현실을, 여성노동자들의 파업투쟁으로 돌파하자는 문제의식 아래 2024년 11월 만들어진 연대체입니다. 24개 단체와 개인들이 모여 구성된 조직위는, 2025년 3.8 여성의날에 맞춰, 실질적인 여성노동자 파업 투쟁을 통해 8대 요구안을 관철하고자 투쟁을 조직하고 있습니다.

3. 계엄군을 투입해 민주주의를 짓밟은 윤석열은 여성 혐오를 발판으로 집권한 인물입니다.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고 외쳤고, 불안정 노동을 양산해 온 자본을 비호해왔습니다. 윤석열은 즉각 퇴진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퇴진을 말하는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국회를 넘어 수많은 일터와 현장에서도 이뤄져야 합니다.

 

4. 삼성그룹은 채용과정에서부터 여성노동자를 차별하고, 현장의 노동자들을 질병과 죽음으로 내모는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삼성전자의 2023년 여성 고용률은 26.2%에 지나지 않으며, 성별 임금격차는 27.7%입니다. 삼성생명보험,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성카드, 삼성증권은 모두 채용 서류를 폐기해 성차별적인 채용 증거를 은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콜센터 노동자들은 상시적인 해고 위험에 놓여있습니다. 생산라인에서 어떤 물질을 취급하는지조차 모른 채 일하던 여성노동자들은 아프도 제대로 쉴 수 없었고, 원인모를 직업병에 집단으로 노출되었습니다. 이렇게 위험한 작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서 뽑아낸 이윤은, 성과금 혹은 배당금이란 이름으로 소수의 삼성 자본가들에게로 독점되고 있습니다.

 

5. 조직위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 삼성그룹을 대상으로 오픈마이크를 진행합니다. 윤석열을 퇴진시키고, 구조적 성차별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가부장적 자본주의를 바꿔내기 위함입니다. 집단적인 노동자들의 힘으로,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오픈마이크는 12월 말 삼성전자의 4차 배당일을 앞둔 12월 13일 금요일 오후 7시, 강남역 10번 출구 앞에서 진행합니다. 오픈마이크 진행안, 조직위 구성 개요 및 요구사항 등은 별첨 참고 바랍니다. 많은 취재 바랍니다.

별첨 1. 오픈마이크 진행안

 

- 일시: 12월 13일(금) 저녁 7시

- 장소: 강남역 10번 출구(집회 후 서울 강남역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 강남역 8번 출구로 행진)

- 사회: 반올림

 

발언

주요 내용

정향숙

산재 피해 증언

삼성 여성노동자 2명

노동조건과 투쟁 소개

공연

소수윗 몸짓패

한국옵티칼하이테크지회 고공 농성 여성 노동자

온라인 전화 연결

삼성디스플레이 책임 규탄

혜원(불꽃페미액션)

구조적 성차별과 삼성 책임 규탄

명숙(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윤석열 퇴진 시국과 삼성 여성파업

유지원(학생사회주의자연대)

삼성 규탄 및 학생들의 여성파업 소개

 

ᅬ 발언 후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으로 행진

 

별첨 2. 2025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구성 개요 및 요구안

 

① 2025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구성 개요

- 2025년 3·8여성파업조직위원회는 2025년 3·8 국제여성의날에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가 여성노동자들을 차별하고 착취하는 것에 주목하며 여성파업을 조직하는 조직위원회입니다. 이러한 목표와 사회에 대한 인식에 동의하는 단체(조직)와 함께 조직위를 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참가 기준을 정했습니다.

- 하나, 우리는 의례적으로 하는 3·8 국제여성의날 행사를 만들려고 모인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여성파업을 조직하고자 모인 조직위원회입니다. 파업은 사용자(자본가)와의 싸움입니다. 파업이 제대로 조직되기 위해서는 노동자를 착취함으로써 유지되는 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문제인식과 노동자계급의 힘에 대한 동의를 기반으로 합니다.

- 하나. 우리는 여성 노동자의 힘을 모으고 행사하기 위한 여성파업을 조직하는 위원회로서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고 동등한 권리의 주체로 여기지 않는 성차별과 성폭력에 반대합니다. 나아가 트랜스젠더와 같이 성별 이분법과 시스젠더 이성애규범에 저항하는 성소수자, 심신의 정상성에 맞서는 장애인, 국적과 국경으로 차별받는 이주민 등 수많은 사회적 소수자를 차별하고 혐오하는 질서에 맞서 싸울 것입니다.

- 하나, 여성파업은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를 떠받치는 정치세력에 의존하지 않고 노동자계급 여성 스스로가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계급정치운동이기도 합니다. 가부장적 자본주의체제의 전환을 당장 이룰 수는 없더라도 체제를 유지하는 기업권력, 자본가권력에 의존하는 정치운동에 대해 경계합니다. 체제친화적 정당운동으로는 체제의 전환을 이룰 수 없기에 여성노동자계급의 힘으로 체제의 변화를 이루기 위한 길을 걸어갈 것입니다.

- 하나, 노동자들의 노동권, 노동자성을 부인하는 한국 사회의 제도로 인해 파업권을 갖지 못하거나 행사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여성파업은 실질적인 파업권이 없더라도 가부장체제와 노동자계급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현장을 바꾸고 투쟁을 조직하려는 운동이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25개 단체 및 개인들이 모여 조직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운수노조 건보고객센터지부, 공공운수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 교육노동자현장실천, 노동당 여성위원회(준), 다른몸들, 민주연합노조 톨게이트지부,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변혁적여성운동네트워크 빵과장미, 불꽃페미액션, 사회주의를향한전진, 서비스연맹 관광레저산업노조 세종호텔지부, 서울인권영화제, 성폭력반대연극인행동, 정치하는엄마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인권운동사랑방, 전국금속노동조합 구미지부 KEC지회, 전국교직원동조합 여성위원회, 페미니스트 디자이너 소셜클럽(FDSC), 학생사회주의자연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행동하는인하인권연대 (현재 25개, 12/10 기준, 추가중)


② “너희는 갈라치지만 우리는 단결한다” 2025 3.8 여성파업 요구안

 

1. 돌봄 없이 살 수 없다! 

이주가사돌봄노동자 차별 금, 근로기준법 11조 (가사사용인 적용 제외) 폐지

가사돌봄노동자 노동권 보장과 양질의 공공돌봄 일자리 확대

성평등 돌봄 위한 노동시간 단축

유급·무급 돌봄노동에 대한 가치 재평가

 

2. 모든 노동자에게 차별 없는 생활임금을!

성별임금 격차 해소

실질임금 및 최저임금 인상

모든 노동자에게 최저임금 적용

 

3. 단 한 명도 잃을 수 없다. 출퇴근길 등 사회와 일터의 성폭력 끝장내자!

딥페이크 성착취 등 모든 성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포괄적 성교육 실시

비동의강간죄 도입, ‘성적 수치심’이 아닌 ‘성적 모욕감’ 으로 수정 등 성폭력 관련 법 개정

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예산 확대

 

4. 낳을지 말지는 우리가 결정한다! 출생률 말고 재생산권리 보장!

모든 사람의 성적 권리와 평등하게 임신, 출산, 임신중지, 육아 등에 대해 결정하고 보장받을 수 있는 재생산권 보장!

유산유도제 도입 및 건강보험 적용 등 임신중지 권리 보장하는 보건의료체계 마련

임신중지, 유사산조산에 유급병가 보장

 

5. 일하다가 죽기 전에 위험하면 멈춰, 아프면 멈춰!

위험한 환경에서 노동자 작업중지권 보장

성인지적 노동환경 조성으로 안전하게 일할 권리 보장

성인지적 노동재해 기준과 법제도 개선

유급휴가, 상병수당 등 아프면 쉴 권리 보장!

 

6. 이주여성노동자에게 평등한 노동권을!

가사돌봄, 농축산어업 이주노동자 차별 철폐

고용허가제, 체류자격 등 이주노동자 노동 통제 철폐

안전하게 생활하고 일할 권리 보장

 

7. 모든 혐오와 차별에 반대한다!

여성혐오, 성소수자 혐오, 페미니즘 사상검증 등 일터의 소수자혐오 대책 마련!

인종, 국적, 성별정체성, 성적지향, 장애 등 포함한 차별금지법 제정

다양한 가족구성권 보장

 

8. 갈라치기 이제 그만, 비정규직 철폐하라!

특수고용, 프리랜서, 가짜 3.3 등 비정규직 철폐

노조법 2,3조 온전한 개정

임금삭감 없는 노동시간 단축, 노동시간 양극화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