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 employed in several major electronics factories in Viet Nam have voiced concerns that they did not work in a safe and healthy working environment and that they lacked information regarding the chemicals
they handled. Many of those women have also voiced concerns with regard to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precarious employment, including the fact that they are often employed without a work contract, and with regard to their challenging working conditions, which often require prolonged standing periods at workstations with minimal breaks, which can rapidly lead to exhaustion."
“베트남의 여러 주요 전자제품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지 못하고,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정보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또한 많은 여성들이 근로 계약서 없이 고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과 최소한의 휴식 시간 없이 작업대에서 장시간 서 있어야 하는 등 불안정한 고용과 관련된 불확실성, 빠르게 지칠 수 있는 열악한 근무 조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The division of labour also exposes women to greater health risks since, by working on electronics assembly lines, they are more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harmful chemicals. A study conducted in 2018 examining chemical usage at two memory chip factories in the Republic of Korea revealed that out of the total chemical volume exceeding 45,000 tons in each factory, approximately 30 per cent comprised sulfuric acid, a highly carcinogenic substance. Among the more than 420 chemical products used, 40 per cent contained compounds protected by trade secret agreements, preventing an assessment of their impact on health. Consequently, the potential effects of those chemicals on women’s health and well-being remain undisclosed and unmeasured."
“분업화로 인해 여성은 전자제품 조립 라인에서 일하면서 유해한 화학물질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건강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됩니다. 2018년 국내 메모리 칩 공장 2곳의 화학물질 사용량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각 공장의 총 화학물질 사용량 4만 5천 톤 중 약 30%가 발암성이 강한 황산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용된 420여 종의 화학 제품 중 40%는 영업 비밀 협약으로 보호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물질이 여성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측정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습니다.”
https://www.ilo.org/sites/default/files/2024-11/The%20future%20of%20work%20in%20the%20electronics%20industry_WEB_Rev.pdf
"Women employed in several major electronics factories in Viet Nam have voiced concerns that they did not work in a safe and healthy working environment and that they lacked information regarding the chemicals
they handled. Many of those women have also voiced concerns with regard to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precarious employment, including the fact that they are often employed without a work contract, and with regard to their challenging working conditions, which often require prolonged standing periods at workstations with minimal breaks, which can rapidly lead to exhaustion."
“베트남의 여러 주요 전자제품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지 못하고,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정보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또한 많은 여성들이 근로 계약서 없이 고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과 최소한의 휴식 시간 없이 작업대에서 장시간 서 있어야 하는 등 불안정한 고용과 관련된 불확실성, 빠르게 지칠 수 있는 열악한 근무 조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The division of labour also exposes women to greater health risks since, by working on electronics assembly lines, they are more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harmful chemicals. A study conducted in 2018 examining chemical usage at two memory chip factories in the Republic of Korea revealed that out of the total chemical volume exceeding 45,000 tons in each factory, approximately 30 per cent comprised sulfuric acid, a highly carcinogenic substance. Among the more than 420 chemical products used, 40 per cent contained compounds protected by trade secret agreements, preventing an assessment of their impact on health. Consequently, the potential effects of those chemicals on women’s health and well-being remain undisclosed and unmeasured."
“분업화로 인해 여성은 전자제품 조립 라인에서 일하면서 유해한 화학물질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건강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됩니다. 2018년 국내 메모리 칩 공장 2곳의 화학물질 사용량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각 공장의 총 화학물질 사용량 4만 5천 톤 중 약 30%가 발암성이 강한 황산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용된 420여 종의 화학 제품 중 40%는 영업 비밀 협약으로 보호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물질이 여성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측정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습니다.”
https://www.ilo.org/sites/default/files/2024-11/The%20future%20of%20work%20in%20the%20electronics%20industry_WEB_Rev.pdf